구독자 여러분 내복 언제 벗으세요? 저는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기운조차 사라지는 5월이 되어야 내복을 보내줄 수 있어요. 제가 추위를 많이 타는 탓도, 하자센터가 볕이 귀한 서북향에 빌딩과 아파트에 둘러싸여 조금 쌀쌀한 탓도 있지요. 그런데 올해는 단체 개화한 꽃들 속도에 맞추어 저도 내복 벗기를 한 달 당겼어요. 땀이 삐질 나더라고요. 상의 두 벌, 하의 두 벌 세탁 후 고이 접어 옷장 저 깊은 곳에 보내 두고 가을에 만나자 인사하는데 참 찜찜해요. 아직 4월인데.
몸은 한결 가볍고 다 같이 만개한 꽃들이 알록달록 보기 좋지만, 기후로 인한 변화가 나의 내복 일정에 이르다니 새삼 놀랐어요. 지난겨울 하자센터에서 진행된 환경·생태 캠프 <제로웨이스트 지구손 챌린지>에서 초등학교 4~6학년 청소년과 VR 기기를 이용해 빙하가 녹고 있는 그린란드와, 수온이 13도나 올라간 제주 바다의 변화를 생생하게 360도 화면으로 보았는데, 그보다 내복이 제 마음을 뒤흔드네요. 차근차근 옮겨가던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은 가상 현실에 고이 구현해 두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작년부터 하자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창작자들의 공유 작업 공간 <공유작업실 OOEO> 전신인 <청소년 창작지대>에 기후위기 주제로 창·제작 활동을 하던 죽돌 폴이 했던 이야기가 생각나요. 내가 지금 누리고 있는 것들을 미래에도 누리고 싶어서 기후 위기에 관심 가진다고 한 이야기요. 제가 내복을 더 오래 입고 싶다는 건 아니고요. 매화 보고, 산수유 보고, 그러다 목련 피고 진 뒤, 개나리 진달래 보고, 또 그러다 벚꽃 터널 지나 라일락 향기 맡다가, 작약 꽃봉오리 한참 지켜본 뒤 활짝 피어나기를 보고 싶어요. 올해는 작약 봉오리 볼 틈 없이 활짝 피었다고요. 이렇게 저는 꽃 보는 즐거움을 누리기 위해 내복 입는 기간이 줄어든 만큼 몇 년 더 입어야지 생각해 봅니다.
하자글방은 함께 읽고 쓰고 합평하며 자신의 이야기를 발견해 가는 청소년 글쓰기 커뮤니티입니다. 2023년 봄/가을 진행된 정규 과정 이후 현재 2개의 후속모임이 진행 중입니다. 2024년 하자마을통신에서는 하자글방 후속모임에 참여하는 죽돌(청소년)들의 글을 매월 전하고 있습니다. 이달의 글감은 "일상의 기술"입니다.
하자 청소년 인터뷰 시리즈, <하고 싶은 일-기>가 2024년에도 계속 됩니다. 24년 4월 인터뷰이는 '실뱌'입니다. 대학에서 애니메이션을 공부하며 올해 졸업반인 실뱌는 졸업 후 창작자로서 다양한 길을 열어놓고 있다고 해요. <문제없는 스튜디오>를 통해 하자에 처음 와, 지금은 참가자가 아닌 작업자로서 활동중인 실뱌의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학생이 아니면 어디서 뭘 하지? 어떤 일로 돈을 벌고 살아야 하지? 이런 생각을 해요. 워킹홀리데이를 떠나거나 디지털 노마드가 되어서 여행처럼 일하면 좋겠다는 생각도 하고요."
AI 교과서 도입의 효과성에 대한 찬반 의견을 다룬 기사입니다. 다만, 교육 환경과 관계망을 배제한 채 학업성취도와 개별 학습자의 효과 중심의 논의가 오히려 한국 공교육의 실정을 보여주는 듯 하네요. [기사] 수천 억원 드는 AI 디지털 교과서, '혁명'인가?
미국 몬태나주 거주 아동·청소년들이 주를 상대로 제기한 기후소송에서 1심 원고 승소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 3월 청소년 주도로 진행한 기후소송이 4월 23일 공개 변론을 진행했는데요. 가디언의 전망처럼 2024년이 기후소송에 중요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기사] 정부에 소송건 청소년들 1심 승소에 전세계 요동